[강청석 칼럼] 눈 오는 밤 옛이야기를 찾으면서

오피니언 칼럼 [강종석 칼럼] 눈 오는 밤 옛이야기를 찾아 강종석 고문 입력 2005년 12월 23일 19:03 업데이트 2005년 12월 23일 19:33

남의 눈 소식이 심상치 않습니다.이십일에 쏟아지고 있으니까요.어느 시인의 말처럼 “모든 것은 작고/이 세상에 눈이 내리고” 있나요.아니면 금년 한해 덮어야 한다 나쁜 일이 그렇게 많았다는 건가.올해 마지막 해가 퐁당 노을 아래에 잠기자 할머니와 할아버지만 사는 눈에 갇힌 산촌의 마당에 땅거미가 찾아 올것입니다.이야기 상대가 밤새 울문식지만 그 장소의 모습이 금방 눈에 들어갈 것 같네요.마을 길이 끊기자 마음의 길이 열린답니다.자꾸 밖을 두리번거리던 눈이 안에 모인다는 이치인 것 같아요.마음의 길을 열것에 고문만 한 것이 없습니다.향기가 납니다.향기의 뜻을 오래 담고 있었기 때문입니다.이럴 때는 정치 경제 같은 세상사는 잠시 미루어 두는 게 상책입니다.날뛰던 세상을 쫓아 올해 내내 함께 날뛰고 있던 마음을 쉬는 데 도움이 되지 않으니까.순서를 밟아 볼 책도 피하는 것이 좋습니다.귀찮으니까요.그대로 열어 감아도 좋은 책, 어느 부분을 갑자기 찾아가도 싫은 기색 없이 맞아 주는 그런 책이 딱입니다.논어가 그런 책입니다.무심코 열어 만난 논어의 이 부분에는 지천명의 심영가 어른거리는 것 같아요.”자재 가와카미 가로되, 서자 여래 남편의 저는 사주 밤이다.”한국어에서는 이렇게 새깁니다.선생님이 흐르는 강물을 보면서 말씀하셨다.”세월은 이렇게 흘러가는지 밤낮을 가리지 않는 것?” 얼큰한 맛이 아닌, 담담한 맛에 찾는 것이 논어입니다.우리의 마음과 생각의 두레박의 크기만, 옛 사람의 지혜를 수렴할 수 있는 우물입니다.”공자 가라사대.:인간 능력)김홍도, 무도한 히로토(무도 히로토)이다”. 이웃 나라에서는 이렇게 말하고 있습니다.”선생님이 말씀하셨다.사람은 열심히 정의의 길을 넓혀야 하지만 하필이면 정의를 내걸고 모두 자신의 이름만 날린다.’논어의 지혜를 담기 위해서는 가방 끈이 아닌 살아온 세월이 길지 않으면 안 됩니다.재능이 뛰어나더라도 연공을 거두지 않으면 그 사람이 내린 두레박은 물에 닿지 않아요.논어의 또 다른 묘미라고 할 수 있습니다.긴긴 겨울밤 다시 논어에 물리면 채근담을 꺼내도 좋아요.”최 군”은 나물의 뿌리는 뜻입니다.책의 이름대로, 어디를 벌리고 씹어도 씹을수록 단맛이 나오는 책입니다.”오래 엎드린 새는 반드시 높이 날고 먼저 핀 꽃은 혼자 먼저 떨어지다.이를 알면 발 디딜 틈의 걱정을 피하고 초조할를 누그러뜨릴 수 있다.”빨리 하고 공을 다투다 오늘의 세상에 쓰이는 약입니다.채 근담의 미덕은 마음의 증상에 응하고 거기에 맞는 구급 약을 맞추고 있다는 점에 있습니다.”매는 서고 있지만 졸린 것 같고 호랑이는 병처럼 걸어가면, 이것이 먹이를 잡아 사람을 씹는 이들의 수단이다.모르는 사이에 총명을 덮고 재능을 보이지 않도록 하시오.”글쓰기에 따라서는 사람의 마음을 노리는 숫돌에도고, 나라의 대계를 갖춘 도구도 됩니다.이제 훌륭한 4대 강국 10년 후에는 미국과 함께 세계의 두 패가 될 것이라는 중국이 “빛을 감추고 어둠 속에서 실력을 키워”과 오랫동안 몸을 굽히고 있던 모습을 생각 나게 합니다.례불의 때를 알리는 범종 소리가 곡연이에 내려오는 곳에 머문다면 2500년 전의 부처님의 말을 원음 그대로 담은 “슷타니파타”를 안타깝게 생각할지도 모릅니다.순식간에 여기저기에 휩쓸리고 이리저리 휘둘린 고년의 잘못을 내고 새해에는 “나의 발걸음”을 잃지 않을게 다짐하는 말이 “슷타니파타”여기저기에 보석처럼 박혔어요.”소리에 놀라지 않는 사자처럼 그물에 걸리지 않는 바람처럼 흙탕으로 더럽히지 않은 연꽃처럼 무당 집의 뿔처럼 혼자서 가라.”정치와 경제는 잠시 물리치고 둔다고 했지만 그게 생각대로 되겠지요?생각은 돌며 결국 우리가 살고 있는 나라에 돌아옵니다.”사람은 내가 스스로를 깔보고부터 타인의 깔보는 것으로 집은 스스로 세운 뒤 남들이 무너뜨리는 것이며 국가는 자신의 몸을 스스로 범하고 남이 두드리는 것이다”옛 사람들이 이 나라 이 국민의 새해를 맞이하기 위하여 미리 맞추어 둔 경위의 말을 꺼내어 건네주는 것 같아요.옛 글은 가슴 속의 용광로에서 삶아 끓인 국물을 끓여야 자신의 것이 된답니다.자, 아궁이에 불을 붙일 차례예요”(강천 주석·논설 주간)

error: Content is protected !!